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록/뼈살

(172)
성공한 사람이란? 성공한 사람과 정말 성공한 사람의 차이는, 정말 성공한 사람은 거의 모든 것에 ‘No’ 라고 한다는 것이다. 여러분은 자신의 시간을 통제해야 한다. ‘No’라고 하지 않으면 그렇게 할 수 없다. 다른 사람들이 여러분의 삶을 좌우하게 해서는 안 된다. #워런버핏 출처 https://t.me/Leecy2863/19671 비슷한 격언으로, 변명을 늘어놓지 않고 저녁초대를 거절할 수 있는 사람이 진정 자유로운 사람이다. -줄로 레나드
‘술먹방’ 도중 사망한 인플루언서 ㅎㄷㄷ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5/22/2023052202168.html 40도짜리 술 4병을 잇따라… ‘술먹방’ 도중 사망한 인플루언서 중국의 한 인플루언서가 인터넷 생방송을 하던 도중, 도수 40도에 이르는 술 4병을 잇따라 들이킨 뒤 사망하는 일이 발생했다. 지난 20일 시나, HK01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생방송 중 백주 4병을 연 health.chosun.com 알코올을 한 번에 많이 섭취하면 먼저 뇌가 망가진다. 알코올은 독성물질이 뇌까지 전달되는 걸 막는 혈액뇌장벽까지 통과해 직접 뇌세포를 파괴한다. 한 번에 많은 양의 알코올을 섭취하면 호흡과 심장 박동을 제어하는 뇌 연수 부위가 마비돼 혼수상태에 빠진다. 호흡과 맥박 기..
집중을 위한 개회로& 폐회로 이해 - 책 '하이퍼포커스' 중 어떤 행동을 통제하고 멈추게 하려면 폐회로 시스템식 사고방식이 필요함을 알았다. 이렇게 원리를 바탕으로 논리를 세워가는 사고방식 너무 좋다. 개회로/폐회로에 대한 좋은 블로그가 있어 같이 첨부한다. 충동행동 억제를 위해서는 폐회로 구성이 필요. 20초 여유 갖기 & 도미노식 행동 결정 개회로(open loop) 이해하기 좋은 블로그 https://naver.me/53BdrIAd 개회로 와 폐회로 개회로 와 폐회로 아주 생소한 단어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원리가 알게 모르게 건설현장에서 많이 이용 되고... blog.naver.com
충동억제를 위한 20초를 만들자 - 책 '하이퍼포커스' 중 20초 동안 그 충동적인 행동로 인한 2,3차 도미노 효과와 충동을 억제했을 때의 2,3차 도미노 효과를 생각해보는건 어떨까! 행동의 도미노효과!! 충동적인 행동 -------------------------- 한 연구에서 발견한 바에 따르면, 주의가 흐트러지기 전에 시간이 약 20초 있다면, 예를 들어 지하실에서 감자집을 되가져오거나, 휴대전화를 꺼내기 위해 잠갔던 서랍을 열거나, 주의를 빼앗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는 데 20초가 걸린다면, 주의를 빼앗는 것들에 빠지지 않을만한 시간적 여유가 생긴 셈이며, 충동을 더 잘 조절할 수 있다. 충동이 행동으로 이어지기까지 걸리는 공백기 동안 우리는 주의력에 대한 통제권을 되찾는다. 20초를 참으면 의식을 차리고 자연스레 생기는 충동..
삶에서의 우선순위에 대한 단상 - 최겸 유튜브 출연자 분이 고정댓글을 남기셔서 기록으로 남겨둔다. 현재 이루신 것들도 대단하신데, 건강에 대한 아쉬움을 말씀하시는 것 같다. 몸+멘탈을 베이스캠프로 가져가는 생활습관을 만들어가자. 유튜브 너무 따뜻하게 잘 봤습니다. https://youtu.be/qcnQ1u2VSmo - 다이어트 과학자 최겸 Gyum Choi님이 고정함 5회 출연자입니다. 영상을 아직 다 보지 못해 무슨 이야기가 나갔을 지 궁금하지만 미리 덧글 남깁니다. 어린시절부터 출세와 성공, 명예에 대한 욕구가 많이 강해서 제 몸이 상하는 줄도 모르고 욕심사납게 살았고 사실 지금도 그 욕심을 내려놓지 못했습니다. 평안을 찾아 헤매고 있지만 언젠가로 미뤄둔 그 평안은 결코 찾아오지 않더라구요. 5시간 남짓 이어진 시간 동안, "이렇게 사는 방법"도..
하루 일과 중, 일의 경중을 살펴보는 기준 - 책 '하이퍼포커스' 중 나는 아래의 사고과정을 '도미노식 고찰'이라 부르고자한다. 몸이나 뇌에 안좋은 충동적인 행동(금주,금연,유튜브 등)을 억제하고 그와 반대의 좋은 행동(명상,달리기 등)을 의도적으로 하고자 할 때 이런 사고방식 좋을 것 같다. 술을 마신다면? 술을 마시는 대신 동기부여 동영상을 본다면 내일 아침 어떤 결과들이 찾아올지 경험을 되살려보자. -------------------------------- 무슨 일을 할지 결정 할 때, 어떤 활동이 초래하는 즉각적인 결과뿐 아니라 2차, 3차 결과까지 고려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디저트로 케이크를 주문할지 생각 중이라고 하자. 케이크를 주문한다면 즉각적인 결과로 케이크를 맛있게 먹을 것이다. 하지만 2차, 3차 결과는 꽤 뼈아플 것이다. 2차 결과로 칼로리를 너무 많..
유전자에 각인된 달리기와 휴식 - 책 '운동화 신은 뇌' 중 쥐 곁에 켓바퀴를 가져다놓으면 예외 없이 취는 운동에 몰두하지만, 사람은 그렇지 않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트레드밀을 사다놓고 웃걸이로만 사용하지요." 인간이 천성적으로 달리기를 좋아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휴식 기간을 이용해서 필요한 에너지를 충분히 비축해두려는 성향도 유전자에 각인되어 있다. 그러니 소파에 깊숙이 틀어박혀 있으려는 본능은 최근 백여 년 동안에 갑자기 생겨난 것이 아니다. 오늘날의 환경이 유전자에 각인된 내용과 일치하지 않을 뿐이다.
운동을 통한 중독패턴 우회로 만들기 - 책 '운동화 신은 뇌' 중 먹는 습관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으로 운동을 권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몸무게란 결국 섭취한 열량에서 소모한 열량을 뺀 수치이니 말이다. 하지만 운동의 효괴는 단순히 열량을 소모하게 해준다는 점에 그치지 않는다. 운동 중에 분비되는 도파민은 D2 수용체에 달라붙어 중독 물질이나 행동에 대한 갈망을 줄여주며, 장기적으로 운동은 D2 수용체가 더 많이 생산되게 해서 보상 체계의 균형을 회복시켜준다. 자신의 외모가 형편없다고 생각해서 고민하는 사람은 관심사를 신체에서 뇌로 전환하면 새로운 의욕이 샘솟을 수 있다. 우리는 흔히 의욕이나 의지가 부족해서 술이나 마약 등에 중독된다고 생각한다. 아주 틀린 말은 아니지만 간과한 게 하나 있다. 의욕이나 의지도 뇌의 신호에 따르는 기능 중 하나에 불과하며, 그 신호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