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록/뼈살

(172)
편안전활의 뇌에서의 의의와 격관의 필요성 - 명상하는 뇌 휩쓸려가지 않고 마음을 주시하는 이런 능력은 마음이 방황하고 있었음을 알아차리는 순간 우리가 중대한 선택을 할수 있게 한다. 우리의 주의를 당면한 작업으로 되돌릴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단순한 정신적 기술은 세상에서 우리를 효울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지지해준다. 공부하는 것에서부터 자신이 창의적인 통참력을 가졌음을 깨닫는 것, 하나의 프로젝트를 끝마치는 것까지 말이다. 경험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보통의 의식이 우리에게 주는 사물에 대한 '단순한 인지'이고, 다른 하니는 그 사물을 인지하고 있음을 아는 것, 족 판단이나 다른 감정적 반응 없이 인지 자체를 인식하는 것이다.흥미진진한 영화를 보다 보면 줄거리에 폭 빠져 주변의 것들은 물론이고 극장에 있다는 사실 자제도 인식하지 못하는 것..
뇌동매매 영어로 아 영어로 보니 더 의미가 와닿네 ㅎ
다중작업의 신화 - '명상하는 뇌' 중 우리는 모두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소설 미디어, 이메일, 문자,전화 등이 숨 월 틈도 주지 않고 몰아치는 '총체적 재앙'에 시달리고 있다. 스마트폰과 그 유사한 기기들이 세상 어디에나 있는 것을 감안하면, 요즘 사람들은 디지털 시대 이전보다 휠씬 더 많은 정보를 받아들이는 듯하다. 우리가 주의를 흐트러트리는 것들의 바다에 빠지기 수십 년전, 인지과학자 허버트 사이먼Herbert simon은 다음과 같은 선견지명을 보였다. "정보가 소비하는 것은 주의력이다. 풍부한 정보는 주의력의 빈곤을 의미한다."
뇌의 설계구조와 스트레스의 탄생 - 명상하는 뇌 당뇨나 고혈압같이 스트레스로 인해 악화되는 질병에 우리가 취약한 것은 뇌 설계상의 단점 때문인 것 같다. 반대로 강점도 있는데, 이는 인간 대뇌 피질이 이룬 자랑스러운 업적들을 통해 드러난다. 문명을 건설한 것이 (그리고 지금 우리가 이 글을 작성하는데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를 만들어낸 것이) 바로 인간의 대뇌 피질cercbrum cortex 이다. 그러나 이마 뒤 전전두피질에 자리 잡고 있는 뇌의 집행 센터는 다른 어떤 동물도 갖지 못한 독특한 이점을 부여함과 동시에 역설적인 결점도 함께 부여한다. 미래를 예측하는 능력과 함께 걱정하는 능력 그리고 과거를 회고하는 능력과 함께 후회하는 능력을 동시에 갖게 된 것이다. 그리스 철학자 에픽테토스Epictetus가 수세기 전에 말한 것처럼, 우리를 화나게 하는..
긍정적 스토리텔링 습관 형성 연습 - 김주환 교수님 유튭 https://m.youtube.com/watch?v=Lllh4HdUMvk&pp=ygUZ6rmA7KO87ZmYIO2ajOuzte2DhOugpeyEsQ%3D%3D1시간 21분 부터 ~
드레스 색깔 착시 원인 - '고통의 비밀' 중 드레스 색깔 착시란? https://namu.wiki/w/%EB%93%9C%EB%A0%88%EC%8A%A4%20%EC%83%89%EA%B9%94%20%EB%AC%B8%EC%A0%9C#s-4 드레스 색깔 문제 - 나무위키 namu.wiki 친구들에게 인사를 하려고 다가갔더니 그중 한 명이 스마트폰을 내 코에 들이대고는 "아! 잘 왔어. 몬티! 봐봐. 네 눈엔 이 드레 스가 무슨 색으로 보여 " 라고 다급하게 물었다. 딱 보니 윈색 바탕에 금색 줄무늬가 있는 드레스였다. 그렇게 말하자 내 친구는 "무슨 소리야! 파란 바탕에 검징 줄무늬잖아. 아니, 이게 무슨 조화지?" 하며 크게 실망한 기색을 보였다. 희한하게도 그 드레스는 보는 사람에 따라 파란 바탕에 검정 줄무늬가 있는 웃으보도 보였고 원색 바탕에 금색..
뇌의 외부정보 처리 방식 - '고통의 비밀' 중 먼저 사진 속의 열굴을 한번 살펴보기 바란다. 그런 다음 책을 거꾸로 들고 얼굴을 다시 한 번 살펴보자. 사진이 거꾸로 된 얼굴은 뭔가 이상하기는 하지만 정확히 뭐가 이상한지 알 수 없었다면 사진이 바로 된 얼굴은 오른쪽 사진의 눈과 입이 거꾸로 되어 있는 것을 금세 알 수 있다. 이 사진은 사진 속 주인공인 대처 전 영국 총리의 이름을 따서 대처 착시리는 이름으로 불리는데, 우리가 어떤 대상을 지각할 때 뇌에서 예측하는 대로 사물을 지각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중거다. 이런 에측은 매우 빠른 속도로 끊임없이 일어나고 대부분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진다. 적응성과 효율성의 관점에서 보면 매초 단위로 접하는 엄청난 양의 감각 정보를 처리하느라 뇌가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대신 뇌가 정말로 관..
샤인덴프로이데의 심리적 이유 - '고통의 비밀' 중 타인의 위로,배려,공감 등은 머리가 똑똑해야 할 수 있다. 미워하고 증오하는 것은 본증인 것이다. 하지만 내가 좋아하지 않는 사람이 고통받는 모습을 보고, 안타까운 마음을 느끼며 공감 능력을 보이는 것은 상당히 힘든 일이다.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박사 과정을 밟던 미나 시카라는 양키스 스타디움에서 열린 뉴욕 양키스 대 보스턴 레드삭스 경기에서 양키스의 영원한 라이벌인 레드삭스팀의 모자를 쓰고 관중석에 앉아 있다가 분노한 양키스팀 관중들로부터 온갖 조롱을 당했다. 그 일을 계기로 집단 분노의 심리를 파헤치는 논문을 쓰게 된 그녀는 지도 교수인 수잔 피스크 와 함께 집단 간 중오심과 질투, '샤덴프로이데schadenfreude'(독일어로 타인의 불행에서 행복을 느끼는 인간의 심리를 뜻함)를 인간이 나타내는 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