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록/뼈살

운동과 중독에서의 탈출 - 책 '운동화 신은 뇌' 중

728x90
반응형

그래서 중독자가 중독 대상을 끊으면 남는 것은 팅 빈 몸뚱이 뿐이다. 이런 점에서 중독에 대처하는 방법은 불안증과 우울 증 감정을 극복하는 방법과 유사하다. 문제의 원인을 제거하는 것은 단지 첫결음에 불과하다. 일단 중독이나 부정적인 감정이 사라지고 난 다음에는 팅 빈 마음을 긍정적인 행동으로 채워주어야만 완전히 변화할 수 있다.

 

바로 이 시점이 운동이 최고의 효력을 발휘하는 순간이다. 원래 인간이란 이처럼 이리저리 돌아다녀야 하는 법이다. 즉 운동을 하는 것이 인간의 가장자연스러운 모습이다.

 

운동은 불안중과 우울중의 결과로 나타니는 행동과 정반대의 행동이다. 그러므로 다른 모든 중독에도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 어떤 중독을 치료하든 불안증과 우울증이 큰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가령 금단치료 중인 중독자가 불안감이나 절망감을 느끼면 중독을 극복하려는 결심이 아주 쉽게 사라진다. 불쾌한 감정에 사로잡혔을 때에는 충동적인 행동을 하기가 쉽기 때문이다.

 

그래서 담배나 술을 끊고 회복기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근력 운동과 유산소운동이 우울증 중세를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된다. 건강할수록 회복력도 좋다. 스트레스를 처리하는 데 별 어려움을 겪지 않는 건강한 사람은 스트레스 상황이 닥쳐도 술이나 과자, 담배에 저절로 손이 나갈 확률이 적다. 신체적인 금단증상을 개선하고 악몽 같은 며칠을 무사히 견더나가기 위해서는 스트레스 체계를 잘 통제하는 것이 무척 중요하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