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뼈살
고통과 쾌락의 균형 찾기 모델 - 도파민네이션(애나 렘키)
Life Lab
2023. 6. 14. 18:39
728x90
반응형

고통은 몸 자체의 조절 항상성 메커니즘을 건드려 쾌락을 이끌어낸다. 위의 그림처럼 그램린들이 저울의 쾌락 쪽에서 깡충깡충 뛸 때 초기 통증 자극이 나타난다. 우리가 느끼는 쾌락은 고통에 대한 우리 몸의 자연스럽고 반사적인 생리 반응이다.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 가 절식과 자학으로 육체의 고행을 자처한 일은 아무리 종교적인 이유라고 해도 그에게 약간 쾌감을 선물했을지 모른다. 고통에 간헐적으로 노출되면 본연의 쾌락 설정값은 쾌락 쪽에 무게가 더 실린다. 그렇게 되면 인간은 시간이 갈수록 고통에 덜취약해지고, 쾌락은 더 잘 느낄 수 있게 된다.
728x90
반응형